Honey Tips?!입니다.
“2025년 청년도약계좌 바뀐 조건 나도 신청할 수 있을까?” 궁금하셨던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.
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의 핵심 조건과 요약 정보를 정리해드릴게요.
복잡하지 않게 딱 필요한 것만 보기 좋게 정리했습니다 😊

이거 내게 맞을까? 조건 복잡하다는 분들을 위한 핵심 정리
청년도약계좌가 요즘 다시 관심을 받고 있죠.
정부에서 매달 돈을 얹어주고 5년 후에는 수천만원을 손에 쥘 수 있는 상품이니 당연히 이목이 집중될 수밖에요.
그런데 정작 가입하려고 보면 “이게 나도 되는 거야?” 하고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 많습니다.
연령, 소득, 무주택 여부 같은 조건들이 좀 까다롭기도 하고요.
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청년도약계좌 조건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풀어서 정리해봤습니다.
읽고 나면 본인이 해당되는지 스스로 체크할 수 있을 거예요.
가입 연령은 몇 살까지 가능할까?
먼저 나이부터 짚고 넘어갈게요.
기본적으로는 만 19세 이상부터 만 34세 이하의 청년이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여기까지는 많이들 아시는데요. 군대를 다녀온 남성의 경우엔 복무 기간만큼 나이가 더 인정됩니다.
예를 들어 1년 6개월 군 복무를 마쳤다면 실제 가입 가능 연령은 만 35세 6개월까지 늘어나게 되는 거예요.
청년 기준이라도 생일이 지나기 직전엔 가입이 막힐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생일 지나기 전에 신청하는 걸 추천드립니다.
참고로 이 기준은 ‘만 나이’로 계산하고 병역 복무 여부는 병무청과 자동으로 연동됩니다.
소득 기준은? 개인 + 가구 모두 중요합니다
청년도약계좌에서 제일 많이 헷갈려하는 게 바로 이 ‘소득 기준’이에요.
“내 연봉만 보면 되는 거 아닌가요?”라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게 절반만 맞습니다.
✔ 개인소득: 연 7,500만원 이하
✔ 가구소득: 기준 중위소득의 180% 이하 (가족 전체 소득)
그러니까 본인의 근로소득이 연 7,500만원을 넘지 않아야 하며
동시에 부모님이나 배우자와 함께 거주하고 있다면 그 가족들의 소득까지 합산해서 중위소득 기준도 충족해야 한다는 뜻이죠.
예를 들어, 3인 가구 기준으로 2025년 중위소득 180%는 월 약 864만 원입니다.
가족 소득이 이보다 많다면 조건에 부합하지 않게 되는 거예요.
• 꿀팁: 복지로 모의계산기 들어가면 가구 중위소득 자동 계산이 가능하니 꼭 확인해보세요.
무주택 조건중에 부모님 집에 살아도 되는걸까?
결론부터 말하면 “네. 부모님 집에 살아도 괜찮습니다.“
청년도약계좌에서 말하는 ‘무주택자’란 본인 명의로 주택을 소유한 적이 없어야 한다는 뜻이에요.
✔ 부모님이 주택을 소유하고 있더라도 본인이 무주택이면 괜찮습니다.
✔ 오피스텔에 거주 중일 경우 등기상 ‘주거용’이면 주택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.
✔ 상속받은 주택 지분이 있다면 조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신청 전에는 꼭 정부24에서 무주택확인서를 발급하거나 국토부 주택소유조회 시스템으로 본인의 주택 보유 여부를 확인해보는 게 좋습니다.
나는 매달 얼마나 넣고 정부는 얼마나 얹어줄까?
청년도약계좌는 매달 최소 1천원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
정부는 소득 구간에 따라 10만 원에서 최대 40만 원까지 매달 지원금을 더해줍니다.
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!
- 저소득 청년: 월 30만원 납입 + 정부 40만원 → 5년 후 약 5,000만원
- 중소득 청년: 월 50만원 납입 + 정부 20만원 → 약 4,400만원
- 고소득 청년: 월 60만원 납입 + 정부 10만원 → 약 4,200만원
• 참고로 이자는 복리로 붙고 이자소득세도 면제됩니다.
즉, 이자까지 전부 본인 자산으로 돌아온다는 거죠.
가입 전에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5가지
청년도약계좌는 조건이 맞는다면 정말 좋은 상품이지만 몇 가지 놓치기 쉬운 함정(?)도 있어요. 아래 항목은 꼭 체크하고 들어가세요.
-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은 환수됩니다.
- 1인 1계좌만 가입 가능하고 중도 해지하면 재가입도 안 돼요.
- 정부 예산이 한정돼 있어 조기 마감 가능성도 있습니다.
- 소득 기준은 ‘신청 당시가 아닌 전년도 기준’으로 적용됩니다.
- 자동이체 설정 안 하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요.
이런 부분만 잘 알고 준비하시면 정말 실속 있는 자산 형성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.
마무리하며, 조건만 된다면 지금이 가장 좋은 기회입니다
2025년 청년도약계좌 조건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?
핵심은 이겁니다.
- 만 19~34세, 군 복무자는 만 39세까지 신청가능합니다.
- 개인 + 가구소득 기준 모두 충족합니다.
- 무주택자 가능합니다.
- 자산을 꾸준히 모을 의지가 있는 사람이면 충분합니다.
지금은 고금리 시대라 저축만으로는 자산 형성이 쉽지 않은데요.
정부가 함께 돈을 얹어주는 이 제도를 잘 활용한다면 5년 후 꽤 큰 목돈을 만들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.
👉 신청은 정부24나 HF공사
👉 조건 확인은 복지로에서 미리 체크해보세요!
2025년 청년도약계좌 관련 홈페이지 안내
1. 한국주택금융공사(HF) – 제도 안내 및 계산기 제공
👉 https://www.hf.go.kr
청년도약계좌가 어떤 상품인지 정부지원 구조는 어떻게 되는지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고 월 납입 금액에 따른 수령 예상액 시뮬레이션 기능도 제공됩니다.
가입 전에는 꼭 한 번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2. 정부24 – 청년도약계좌 온라인 신청
👉 https://www.gov.kr
정부24에서는 본인 인증 후 바로 신청 가능하며 필요 서류와 절차도 단계별로 안내됩니다.
은행 앱으로 신청하기 전 이곳에서 자격 확인과 절차를 미리 확인해두면 더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
3. 복지로 – 가구 중위소득 모의계산
👉 https://www.bokjiro.go.kr
청년도약계좌는 가구소득 기준도 충족해야 하므로 복지로 사이트에서 가구 중위소득 180% 이하 여부를 미리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.
자신의 월 소득, 가족 구성원 수 등을 입력하면 자동 계산되어 조건 충족 여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
4. 주요 은행 앱 – 실제 계좌 개설 및 납입 관리
2025년에는 NH농협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IBK기업은행 등 시중은행 앱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으며 토스뱅크,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은행도 순차 도입 예정입니다.
가입부터 자동이체 설정, 납입금액 변경까지 모두 비대면으로 처리 가능합니다.
함께 보면 좋은글
👉 2025년 청년도약계좌 완전 분석! 월 70만원씩 모으면 정부가 3천만 원 더?